中공산당 '초한전' 눈치 챈 대학생들
[6·3 대선 전에 알아야 할 이야기] (상) 거리로 나온 청년들이 '반중' 외치는 이유

6월 3일 치를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수많은 여론조사가 나오고 있다. 대선 향방을 가를 여론에서 중요한 건 "지지 후보 없음"이라고 답한 중도층이다. 이들은 사실 "찍을 후보 없음"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다. 하지만 이들의 마음을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친중’이냐 ‘반중’이냐, 그리고 ‘반중이라면 중국에게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 하는 점이다.
◇ 청년들 모인 ‘자유대학’의 ‘반중정서’ 비난하는 좌파 매체들
지난 17일 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대학생 모임 ‘자유대학’ 회원들이 서울 성동구 성수동부터 광진구 건국대 인근까지 시가행진을 벌였다. 이를 두고 이튿날 한겨레와 연합뉴스 등이 부정적인 보도를 내놨다. 행진 중 중국을 비난하고 중국 음식점 종업원과 시비가 붙었다는 이유였다.
자유대학 회원들이 행진 중 부른 노래는 ‘짱개 북괴 꺼져라’라는 자체 응원곡이다. 회원들이 이 노래를 부르며 건대입구역 인근의 중국 양꼬치 거리를 지나다 중국음식 종업원과 시비가 붙었던 것이다. 경찰까지 출동하고서야 상황은 마무리 됐다.
이를 두고 한겨레는 "건대 양꼬치 거리 한복판서 혐중 시위한 윤석열 지지 극우 청년들"이라는 기사를 통해 "노골적인 혐중 시위는 일본 우익단체들이 도쿄 한인타운 등에서 벌이는 혐한 시위와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대학 과잠을 입은 학생들이 당당하게 혐오 발언을 하는 모습이 폭력적이었다. 중국인 이웃들 보기에 너무 창피하고 우리나라가 역행하는 느낌이 들었다"는 한 직장인의 주장도 전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해 반감을 가진 사람의 반응은 전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은 이런 혐중 시위는 전형적인 ‘혐오 확산’의 경로라고 지적했다"며 홍성수 숙명여대 법학과 교수의 주장을 전했다. 홍 교수는 "최근 윤 전 대통령과 일부 국민의힘 정치인들이 노골적으로 혐중을 부추기는 상황이 이런 혐오 시위의 배경에 있다고 본다"며 "어떤 집단을 찍어 공격하는 분위기가 사회에 자리를 잡으면 그다음에는 새로운 타깃을 향해 혐오를 확산시킬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합리적인 정치인들이 나서서 혐오 정서에 단호하게 선을 그어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를 비롯한 좌파 성향 언론은 물론 대다수 기성언론은 ‘자유대학’ 회원뿐만 아니라 적잖은 우리 국민이 ‘반중’을 외치는 것을 ‘혐중’이라고 몰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지난 3월 6일 MBN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대학가에서 ‘반중정서’가 강해지는 것과 관련해 "혐중정서에 캠퍼스 몸살…중국인 특수도 실종"이라는 기사를 통해 "한국이 좋아서 유학을 온 중국 유학생들은 불안감을 넘어 두려움까지 토로한다"며 중국인 유학생의 말을 전했다.
중국인 유학생은 "제가 실제로 그런 상황에 처할까 봐 매우 두렵다. 앞으로 한국에서 살게 스스로를 더 잘 보호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방송은 "대학가의 반중 정서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제기한 ‘중국 선거 개입설’ 이후 더욱 확산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정서가 문제라는 식으로 보도했다.
방송은 "몇 달 전만 해도 중국 유커(단체관광객)이 가득했던 이곳 명동의 경우 중국인 관광객이 확인혀 줄었다"며 "중국 대사관 근처에 시위가 잇따르면서 관광객들은 줄고, 일부 가게들은 중국 광고 문구를 없애기도 했다"고 했다.
하지만 방송은 해당 보도에서 왜 우리나라 대학생과 대학가에서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반감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지는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그저 윤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 이후 대국민 담화에서 ‘부정선거 중국 개입론’을 제기한 뒤로부터 이렇게 된 것 같은 뉘앙스만 전했다.
기성언론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나 트럼프 정부에 관한 보도에서 보듯 일본과 미국을 비난하는 데는 매우 적극적이고 자유롭다. 반일과 반미를 외치는 단체나 정치인들에 대해서도 관대한 태도를 취한다. 반면 중국인이 국내에서 저지르는 민폐와 패악질, 중국 공산당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도하려 하면 ‘혐오 조장’으로 몰아가는 태도를 보인다.
때문에 적잖은 국민들은 기성언론이 중국인의 실체와 중국 공산당의 위험성을 사실대로 알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 대학가의 반중정서, 하루 아침에 형성된 것 아냐
좌파 매체와 기성언론은 제대로 보도하지 않지만, ‘자유대학’ 회원을 비롯해 대학가에서 높아진 ‘반중’ 목소리는 중국인 전체를 향한 게 아니다. 중국 공산당과 그들에 부역해 우리나라에서 ‘공작’을 벌이는 중국인을 향한 것이다.
8900만 공산당원을 위해 나머지 13억 인구가 노예로 사는 사회를 두고 ‘샤오캉(少康, 중산층) 사회라고 주장하는 중국 공산당은 시진핑이 집권한 뒤 세계 패권을 장악하려는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들의 패권 전략 시험대는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였고, 1차 목표는 홍콩이었다. 1.5차 목표는 대만과 한국을 포함한 한반도, 2차 목표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이다. 2049년까지 달성하겠다는 3차 목표는 태평양 도서국가 전체와 하와이다.
이는 소설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이 20여 년 전에 공개한 국가전략목표다. ‘도련선’으로 알려진 중국의 장악 대상 지역은 총 3차까지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 ‘초한전’으로 알려진 하이브리드 전쟁이다. 중국 공산당은 하이브리드 전쟁을 통해 "총을 쏘지 않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의 하이브리드 전쟁 ‘초한전’을 위한 24개 전법 가운데는 ‘생태전’ ‘사이버전’ ‘정보전’ ‘심리전’ ‘기술전’ ‘밀수전’ ‘마약전’ ‘금융전’ ‘무역전’ ‘자원전’ ‘경제원조전’ ‘법률전’ ‘언론전’ ‘이데올로기전’ 등과 같은 생소한 전법도 포함돼 있다.
기성언론과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정치인들은 외면하지만 우리 국민 대다수는 "한국에 온 중국인들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10여 년 전부터 해왔고, 이제는 대학생들까지도 이런 점을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대학생들은 중국 공산당의 전법을 찾아보다가 대학 내에서도 ‘하이브리드 전쟁’이 벌어지고 있음을 깨닫고 ‘반중’을 외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우리 사회 곳곳에 온갖 마약이 확산하기 시작한 시기가 중국 공산당에 우호적인 정권들에서부터였고, 우리 세금이 우리 국민이 아닌 중국인과 외국인만을 위한 다양한 특혜 정책에 쓰이고 그 범위 또한 광범위하다는 점, 이런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친 정권과 정당이 중국 공산당과 북한 세습독재 정권이 보낸 간첩을 잡아 처벌하는 법 개정을 미루고 있다는 것 등을 깨닫게 된 것이다.
다만 ‘자유대학’ 회원을 비롯한 청년들은 중국이 전개 중인 ‘하이브리드 전쟁’에 대해 단편적인 정보만 습득하고 있다. 기성언론은 물론 정치권, 학계가 이에 대해 침묵하는 동시에 정보를 공개하면 "그건 거짓말"이라며 철저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경웅 기자 입력 2025.04.22
관련기사
- ‘체제 수호’ 우파시민들, ‘민주파출소’에 맞서 ‘국민수사대’ 출범
- 2030 애국운동 연합 ‘자유대학’, 창당 선언
- 풀어줬더니 또 美기지 ‘몰카’ 촬영한 中인들...경찰, 다시 풀어줘
- 中, 자국민 군사시설 도촬 두고 "한국이 언론 플레이 조작"...적반하장
- 한한령부터 옥계항 코카인까지...국민이 목격한 中공산당 '초한전'
- 국정원 "중국인의 군사시설·정보기관 무단촬영…1년 동안 11건 발생"
'안보, 경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첩은 없다’는 거짓 프레임 (0) | 2025.05.07 |
---|---|
[유동열의 스파이 세계] (0) | 2025.05.07 |
SKT 유심 해킹 관련 의혹들 (3) | 2025.05.04 |
[평양에서 왔습니다] <41>~<45> (2) | 2025.04.29 |
[김동식 기획연재] <13> (4)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