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가 ‘노무현의 서해NLL 포기 발언 논쟁’에 대해 “‘노무현 기록’ 30년 묶어놓은 법 개정해야 한다”는 사설을 썼다. 동아일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새로 출범한 이명박 정부에 국정 관련 기록물을 제대로 인계하지 않은 데다 기록물 사본을 사저(私邸)로 무단 유출해 크게 논란을 빚은 적이 있다. 대통령이 재임 중 생산한 기록물은 국가의 소유라는 점에서 명백히 잘못된 처사였다”며 ‘2007년 노무현이 김정일에게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느냐’는 여야 공방전에서 ‘대통령 관련 기록물의 열람’이 녹록치 않다고 지적했다. 국가기록물을 봉하마을로 사유물처럼 가져간 노무현이 임기말에 만든 ‘대통령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反국익성, 反민주성, 非공개성을 지적한 동아일보의 사설이다. 국민이 대통령의 통치행위를 모르게 만들려던 노무현이 민주투사의 상징으로 불리는 게 대한민국의 반민주적이고 폐쇄적이고 불통적인 정치풍토다. 소통을 강조한 노무현은 그의 대화록을 국민들에게는 밀봉한 불통의 주범이었던 것이다.
동아일보는 “2007년 4월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만들어진 ‘대통령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일반적인 비밀기록보다도 한 단계 더 높은 ‘지정기록물’이라는 항목을 따로 두었다. 지정기록물은 지정권자인 대통령 본인 외에는 10년, 15년, 30년의 보호기간이 끝날 때까지 누구도 열람할 수 없고, 보호기간 내에 열람하려면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게 했다. 군사 외교 통일에 관한 비밀뿐 아니라 대통령 개인의 사생활과 정치적 견해를 담은 기록도 지정기록물로 지정할 수 있다”며 “노무현 정부가 국가기록원에 넘긴 825만여 건의 기록 중 34만 건이 지정기록물이다. 2차 남북정상회담 회담록은 보호기간 30년의 지정기록물로 분류돼 있다”고 보도했다. 세상에 자신의 회담기록을 30년 뒤에 보게 만든 게 노무현의 반민주적인 통치행각이다. 적대집단인 김정일과 나눈 종북성향인 노무현의 대화를 비밀에 붙이면, 대한민국이 위태로워질 것이다. 노무현과 김대중의 종북적 통치행위는 역사적 심판의 대상이다.
동아일보는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시사 발언 여부는 우리의 주권과 관련된 엄중한 사안이다. 실제 그런 발언을 했다면 예삿일이 아니다. 향후 대북정책 수립과 대처를 위해서도 반드시 진위를 가릴 필요가 있다. 30년의 보호기간이 끝나기를 기다릴 수는 없다. 현행법을 존중한다면 여야 합의로 열람이 가능한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해법이다”라며 ‘노무현-김정일 대화록’의 공개를 독촉했다. 동아일보는 “지정기록물이라는 것을 만들어 퇴임 대통령이 임의로 최장 30년까지 내용은커녕 목록조차 아무도 못 보게 대못질을 한 것은 국정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노 전 대통령이 무슨 숨길 것이 그렇게 많았을지도 궁금하다. 잘못된 법은 지금이라도 합리적으로 고쳐야 한다”며 노무현의 자기행적 은폐행각을 꼬집었다. 이렇게 자신의 통치행위를 숨긴 노무현은 과연 공개적 통치를 핵심덕목으로 하는 민주정치에 적격자였던가?
한편 노무현-김정일 회담의 준비위원장이었다는 문재인 후보 측은 ‘그런 내용의 대화록이 없다, 대화록은 폐기되었다, 새누리당의 깔공세다’라는 등의 대응을 해왔는데, 21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과 관련, 청와대와 국정원을 향해 내용을 확인해달라”는 내용의 요청을 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문재인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이목희 기획본부장은 21일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청와대나 국정원이 (그런 발언이)있더라 없더라 확인해주면 가장 쉽다. 당시 기록은 국가기밀이라 대통령과 국정원장만 볼 수 있다. 내용이 공개돼 밖으로 돌아다니는 것보다 그것을 볼 수 있는 사람이 보고 정문헌 의원이 주장한 내용이 맞는지 알려주면 된다. 청와대나 국정원이 확인해 그런 얘기가 없다고 하면 정문헌 의원의 주장은 거짓이 된다”는 주장을 했다고 뉴시스는 전했다. ‘미군이 일방적으로 그은 선’이라며 NLL을 포기하는 듯한 노무현의 공언을 이목희 본부장은 간과하고 있다.
“의혹의 근원인 비밀회담은 없었다”는 취지의 주장을 한 이목희 본부장은 “문재인 후보가 당시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이었고 문 후보가 확인한 것은 당시 비밀 정상회담은 없었다는 것이다. 본인이 확인했고 대화록에 정문헌 의원이 제기한 그런 내용은 없다”는 말을 했다고 뉴시스는 전했다. ‘참여정부 당시 공동어로수역 설정 방침이 북방한계선을 경시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양쪽이 협정을 맺어 양측 어선으로 하여금 자유롭게 조업토록 하자는 것이지 NLL을 가볍게 여기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한 이목희 본부장은 ‘국방상 북방한계선과 공동어로수역이 양립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휴전선이 있는데도 남북이 많이 왕래하고 있지 않느냐. 그것과 같다”는 대답을 했다고 뉴시스는 전했다. 민주통합당은 ‘청와대나 국정원이 확인해달라’고 하지 말고, 여야 합의 하에 비밀로 봉쇄해둔 ‘노무현-김정일 대화록’을 공개하면 될 것이다. 민주통합당은 새누리당과 함께 복잡한 변명을 대지 말고 김정일-노무현 대화록을 공개하면 된다.
“이목희 ‘노 대통령 NLL발언, 靑·국정원 확인해달라’”라는 뉴시스의 기사에 조선닷컴의 한 네티즌(shins****)은 “말장난 그만하고 해당 국회의원들이 모두 가서 동시에 열람하고 결과를 국민에게 밝혀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a46****)은 “민주통합당 NLL발언 국정원 보고 무슨 확인해달라는 건지 국민 헷갈린다. 그 당시 봉화산바위 부정부패로 자살한 노무현 측근 중에 측근 문재인 모든 사실 정확히 알고 있는데, 정보부한데 무얼 확인해달라는 건지 국민들 헷갈린다. 민주통합당 종북좌파들 우리 영토선 NLL 포기한다. 이 영토선 국민과 군인들 목숨 바쳐 지켜야 할 우리나라 영토 아닌가. 여기 관여한 문재인 사과하라!”고 반응했고, 또 다른 네티즌(rokn****)은 “휴전선과 같다고? 그래서 같이 쓰고 있나? 뭔 말씀하시는지. 철책 3중으로 하고 게이트 만들고 신분검사하고 통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까? 말장난 하지 마십시오. 국민들이 그렇게 멍청한 줄 아시요?”라고 반응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패가르기’를 지적했다. ‘친노(친노무현) 선대위’ 논란에 대해 “언론이 심한 것 아니냐”며 언짢아한 문재인 후보는 “괜히 비서실 인선을 발표해 빌미를 줬다”며 후회했다고 전한 동아일보는 “그의 말처럼 비서실 인선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으면 문제가 없었을까. ‘캠프의 핵심’으로 불리는 비서실의 팀장급은 대부분 친노이며 규모도 47명으로 웬만한 본부보다 크다. 특히 양정철 전 대통령홍보기획비서관이 팀장인 메시지팀은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관들이 장악하고 있어 ‘핵심 중 핵심’으로 불린다. 팀 규모도 18명으로 민주캠프 70여 개 팀 가운데 가장 크다. 그런데도 언론의 지적이 지나친 것일까”라며 문재인 후보의 판단을 비판했다. 최근 대학생들과 만난 자리에선 영화 ‘광해’를 보고 운 이유를 “균형외교를 추구했다가 보수세력 수구언론으로부터 공격을 많이 받았다. 그런 기억을 상기시켜 주는 장면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 문재인의 설명도 ‘패가르기’라고 동아일보의 지적이다.
동아일보는 “당내에는 이런 문 후보의 언론관을 두고 노 전 대통령을 떠올리는 이가 적지 않다. ‘내 편’과 ‘네 편’을 나누고, 일이 잘 안 되면 ‘언론 탓’으로 돌리는 모습이 겹친다는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우려되는 점은 대선이 다가오면서 언론에 대한 문 후보와 캠프의 반응도 격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주 기자간담회에서 문 후보는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질문을 중간에 끊고 ‘됐다. 더 세세한 질문은 필요하지 않다’며 면박을 줬다. 후보에게 묻기 위해 다가가는 기자를 수행원이 두 손으로 잡아 접근을 막기도 했다. 기자들이 항의하자 대변인은 오히려 ‘후보가 알지 못하는 내용을 직설적으로 물으면 어떻게 하느냐’며 짜증을 냈다. 문 후보는 자신의 언론관에 대해 ‘편 가르기를 하지 않겠다는 게 원칙’이라고 했지만 여전히 종합편성채널 출연은 거부하고 있다”며 문재인 후보의 패가르기를 지적했다. 종북좌익적 성향을 띤 친노(親盧)세력의 패당주의는 자유대한민국의 분열과 갈등에 치명적인 변수가 되어왔다. 친노세력이 평화를 가면으로 하여 종북적 대북정책을 강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선후보의 친노(친노무현) 핵심 참모그룹 10여명이 21일 선대위에서 전격 퇴진키로 했다고 한다. 연합뉴스는 “이들의 일괄사퇴는 문 후보의 정치쇄신안 마련을 위한 ‘새로운 정치위원회’ 출범에 맞춰 당 일각의 친노 장악 논란을 불식시키겠다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당 안팎의 인적 쇄신 요구와 맞물려 파장이 예상된다”며 “당초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전해철 의원(전 청와대 민정수석),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이른바 ‘3철’로 불려온 친노 참모 핵심 3인방이 퇴진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으나 심야 논의 과정에서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이날 “선대위에서 맡고 있는 직책을 내려놓고 모든 것을 던지겠다. 이를 통해 문 후보의 승리를 위한 노둣돌이 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고 한다. 한 친노 핵심 인사는 “이번 퇴진 선언을 통해 친노, 비노(비노무현)로 편을 가르는 일이나 당내 화합을 해치는 일이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친노세력의 패당주의는 소통과 화합에 적대적 요소임을 반증한다.
노무현의 아바타로 불리기도 하는 문재인 후보는 ‘노무현의 서해NLL 포기 발언 논란’에 대해 “여야 합의로 노무현-김정일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요구해야 할 것이다. 노무현의 서해NLL 포기적 10.4선언의 이적성을 국민행동본부는 비판해왔다. 국가안보를 중시하고 종북세력의 반역에 분노한 국민들은 ‘노무현-김정일 대화록’ 공개를 요구한다. “노무현이 청와대 문건 일부를 봉하마을로 이송, 사유화하는가 하면 기록물공개관련법을 뜯어고쳐 (국가기록원 이관) 825만건의 기록물 중 남북정상회담 관련기록물 포함한 자기 관련 34만 건에 한해서 지정기록물로 규정해, 30년 동안 공개금지시킨 이유가 뭔가? 스스로 생각해도 공개하면 시끄럽다는 걸 그가 잘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국민은 이런 노무현의 꼼수를 꿰뚫어 깨야 한다”는 조선닷컴의 네티즌(bi47****)은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국가안보를 외면하고 적대집단에 ‘평화’만 타령하는 종북좌익 대선후보자들은 국민의 자격도 없다. [허우 올인코리아 기자] 




|